본문
인버터의 동작원리
1) 컨버터부 :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순변환장치
- 3상 교류 입력의 경우 다이오드 6개를 조합해서 교류전원을 전파 정류하면 그림에 나타낸 것 같은
타이밍으로 다이오드가 도통하여 입력전류 파형도 단상전원의 경우와 같은 모양의 왜곡파 전류로 된다.
2) 돌입전류억제회로 : 돌입전류로 인한 인버터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
- 인버터에 전원투입 시는 평활용 캐패시터를 충전하기 때문에 큰 돌입전류가 흐르는데, 전원을 ON/OFF 할 때 마다 컨버터에 피크전류가 흘러 다이오드의 수명을 단축시켜
결론적으로는 인버터의 수명을 감축시킨다.
돌입전류억제회로는 돌입전류의 피크값을 억제한다.
3) 평활부 : 정류된 직류를 보다 직선적인 직류 형태로 만들기 위해 사용
- 평활 캐패시터는 다이오드로 정류한 정류파형을 맥동분이 작은 직류로 평활한다. 직류전압은 인버터 정지시 최대로, 교류입력전압의 약 √2배로 된다. 인버터 운전시는 출력(토크,회전속도)에 따라서 직류전압은 다소 변동한다.
4) 회생제동부 : 모터에서 발생한 회생에너지를 소비하는 장치
- 모터에서 발생한 회생에너지는 인버터의 직류평활회로로 충전하여 직류전압을 상승시키고 과전압보호회로를 동작하여 인버터의 출력을 차단한다. 인버터의 정지없이 회생에너지를 소비시키기 위해 회생제동장치가 필요하다.
- 그림은 내장형 제동브레이크 회로로서 용향에 따라 내장형과 회장형으로 나뉘어 진다.
5) 인버터부 :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역변환장치
- IGBT
T1~T6를 교대로 ON/OFF하면 U-V, V-W, W-U사이에는 같은 간격의 펄스 파형이 얻어져 모터에는 구형파의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. 이렇게 ON/OFF 주기를 바꾸는 것에 의해 모터에는 임의의 주파수가 출력된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